목록개발이야기/Web Programming (7)
기억하기 프로젝트
badcandy.github.io/2018/12/28/SRE-chapter04/ SRE - 서비스 수준(SLI, SLO) 목표 설정 및 활용 SRE - 서비스 수준(SLI, SLO) 목표 설정 및 활용 Dec 28, 2018 요즘 서비스 수준의 목표 설정의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서비스 수준의 목표는 기능적인 요구사항이 아닌 응답 속도, badcandy.github.io evan-moon.github.io/2020/10/24/buisiness-with-programming/ 일 잘 하는 개발자는 왜 비즈니스까지 신경쓸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발자와 멀고도 가까운 주제인 비즈니스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개발자들은 늘 좋은 설계와 튼튼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고심하고..
JSP 컴파일 과정 JSP를 [서블릿 기반의] 서버측 스크립트 언어라고 칭하는 이유는, jsp로 작성된 스크립트가 (실행시,) 자동으로 서블릿 코드로 변환되어 컴파일되고 실행되기 때문이다.그렇기때문에 따로 서블릿을 컴파일 하지 않아도 알아서 변환, 컴파일, 실행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JSP Container 프로세스를 거쳐야 한다.그럼 지금부터 더욱 자세히 JSP 컴파일 과정을 살펴보자. 먼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웹 어플리케이션에 요청이 들어오면 JSP Container 프로세스를 통해 서블릿 객체의 존재유무와, jsp파일 변경 유무를 확인하고, 만약 서블릿 객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jsp 컴파일 후 파일 변경이 일어났다고 판단이 되면 jsp파일을 서블릿 소스로 변환하여(*.java파일로), 서블릿 컴..
서블릿이란 ? java를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측 프로그램을 말한다.흔히 말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작성에 사용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HTTP요청이 오면, 웹서버는 HTML문서파일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HTML문서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그 프로그램이 실행한 결과를 화면에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호출되는 프로그램을 "웹어플리케이션" 이라고 하고, 위에서 언급한 서블릿이 바로 이러한 웹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하는 기술인 것이다. 2013/09/19 23:59 작성
web.xml파일 알아보기web.xml 파일은 웹 어플리케이션의 deployment descriptor(배포 설명자)로, 각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서버가 처음 로딩될 때 읽어들이고, 해당 환경설정에 대해 tomcat에 적용하여 서버를 시작한다.이 파일에서 작성되는 내용은 dispatcherServlet 설정, db설정과 같은 서블릿 설정에 대한 내용이고, listener, filter 설정 및 welcome File list, error page 처리, mime type 매핑, session의 유효시간 설정, servlet context의 초기 파라미터 설정 등이 있다..web.xml 파일은 맨 처음 태그로 시작이 되고, xmlns 네임스페이스로 XML Schemas for Jav..
Apache는 웹서버의 역할을, Tomcat은 웹 어플리케이션 역할을 하는데 보통 로컬환경에서는, 서버역할과 웹어플리케이션 역할을 통합하여 하나의 웹 콘테이너인 '아파치톰캣' 으로 많이 사용하지만,(톰캣서버)웹서버와 웹어플리케이션을 분리함으로써(아파치는 웹서버역할, 톰캣은 웹어플리케이션 역할을 더 잘할 수 있기 때문에) 성능이 좋아질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분리한다고 한다. (성능이 얼마나 좋아지는지는 잘..모름. 그냥 그렇다고 함) 이제 이 둘을 분리하는 이유를 알았으니 아파치, 톰캣을 각각 다운받아서 연동해보도록 하자. Apache2.2 + Tomcat 설치 및 연동하기 (사진은 추후 첨부)목적 : Apache HTTP server 및 tomcat설치, 그리고 mod_jk로 연동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HTTP 에러코드 표 참고 : http://regulation.tistory.com/10 HTTP 302 코드 (임시 이동) :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가 임시적으로 이동했고(임시URL로), 클라이언트가 해당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URL을 반환해야 함을 나타내는 상태코드 -웹사이트 최적화 기법 책 참고- 2013/09/01 17:54 작성
HTTP : 브라우저와 서버가 인터넷상에서 서로 통신하는 방법, 또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요청과 응답으로 구성되는 프로토콜을 말한다.브라우저는 지정된 URL로 HTTP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해당 URL에 해당되는 응답을 다시 돌려보내게 된다. 여기서 요청시에 타입이 존재하는데, GET, POST, HEAD...등의 타입이 있고, 대표적으로 GET요청이 가장 일반적이고 많이 사용된다.GET타입의 요청은 헤더 안에 URL을 포함시키게 되고, HTTP응답에는 상태코드, 헤더, 본문(body)를 포함하게 된다. *압축 서버와 브라우저 둘 다 압축을 지원한다면, 이를 이용하여 응답크기를 줄일 수 있다.브라우저는 Accept-Encoding: , 서버는 Content-Encoding 헤더를 통하여 압축 여부를 알려..